대구정책브리프

본문 바로가기

대구정책브리프

  • 홈  >  연구  >  대구정책브리프
대구정책브리프.

대구정책연구원의 대구정책브리프 목록입니다.

게시물 검색
'혁신' (으)로 5건의 게시물이 검색되었습니다.
  • 5
    ○ 대구 재발견: 대구는 ‘3中 융합형’ 전략적 요충지•대구의 3대 특성은 ▲지리적 측면의 중앙입지 ▲기능적 측면의 중심지 ▲거점 대도시체계 측면의 중추도시(GIS 분석방법 근거)① 중앙 입지 • 대구는 영남지방의 정중앙지점에 위치 → 영남지역의 가장 넓은 배후지를 갖는 거점 대도시• 대구는 영호남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정중앙지대의 동쪽 최대 도시 → 영호남 지역의 가장 넓은 배후지를 갖는 거점 대도시② 중심지 기능 • 대구는 과거 한반도 3대 중심도시, 산업화 시대의 섬유 산업 중심지, 오늘날 경부축의 중심지 일원 등 → 중심지 DNA 보유③ 중추 도시 • 주요 6대 거점 대도시(서울, 부산, 대구, 광주, 울산, 대전)간 상호 도달 평균거리를 측정해보면, 대구는 최단거리 (139㎞)에 입지 → 지역간 교류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중추도시 기능 보유대구 : ‘3中 융합형’ 전략적 요충지와 7대 요충지 역할• 중앙입지+중심지+중추도시 특성들이 결합된 대구는 ‘3中 융합형’ 전략적 요충지 위상을 보유, 국내외 기업 투자 요충지 등 7대 요충지 역할 : ▲국내외 기업 투자 요충지 ▲신산업ㆍ일자리 요충지 ▲비즈니스 요충지 ▲신공항 연계 교통 요충지 ▲인재양성·정착 요충지 ▲문화교류 요충지 ▲의료 등 생활복지 요충지○  대구굴기와 대구 12대 슈퍼혁신• ‘3中 융합형’ 전략적 요충지로 재발견된 대구에서 7대 요충지 역할이 발휘되어 미래50년 번영을  이룩하기 위해 혁신에 기반한 ‘대구굴기’(大邱崛起)가 일어나야함•대구굴기(大邱崛起)란 “우뚝 높이 치솟아 장기 고도성장을 이루는 대구 발전 모습”을 의미• 때마침 대구에서는 ‘22년 7월부터 단기다발(短期多發)형 대구 12대 혁신이 포도송이처럼 발현되어, 대구굴기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됨○  대구굴기발 국토 다극화와 대한민국 미래 新산업화 시대 견인• 12대 혁신 다발 추진에 의해 내적(內的)으로는 대구굴기 성취의 가시화가 이뤄지고 외적(外的)으로는 국토 다극화로의 변화를 촉진할 것임. 남부거대경제권과 중부거대경제권을 형성•대구굴기는 국토 공간의 다극화와 함께 대한민국의 미래 첨단 新산업화 시대를 동반견인하게 될 것임○ 현안 및 주요 과제▲원스톱 기업 지원을 통한 국내외 기업 투자 유치 등을 위해 대구가 3中 융합형 전략적 요충지임을 대내외 홍보 강화 ▲신공항 혁신이 12대 혁신을 이끄는 리딩혁신이므로 특히, 신공항 건설에 최적화된 특수목적 법인 우선 설립 ▲신공항과 달빛철도 연계 시너지 창출 ▲대구굴기발 국토 다극화 전략을 국토종합계획 등 국가 계획에 반영
    [더보기]
  • 4
    ○ 대구 미래50년을 향한 대구 도시공간구조의 새로운 도전• 대구경북신공항의 건립과 군위군의 편입 등은 대구를 글로벌 도시로 도약시키는 기회• 대구의 혁신적 도약을 이뤄낼 수 있는 대구 공간구조의 혁신모델과 주요 전략을 제시※ 대구 공간구조 혁신모델은 양질의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신공항 건설과 연계하여 신산업구조가 첨단 신산업구조로 개혁되며, 사통팔달 교통망구축 등 시민 삶의 질이 크게 변혁되는 대구 뉴프런티어로 도약하는 공간모델임○ 대구 공간구조 ‘4+6’혁신모델 • 모델의 기본 구조는 4+6으로서 4권역, 6공간콘텐츠로 구성• 4 권역 : ① 군위권 ② 도심권 ③ 달성권 ④ 신공항 연계 거대경제권 으로 구성• 6 공간콘텐츠 : 대구가 지향해야 할 6가지 공간콘텐츠를 의미- 6가지 공간콘텐츠① 신공신산(新空新産) :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미래 도약 5대 신산업 구조로 개혁② 후적거점(後跡據點) : K-2 종전부지 및 주요 후적지를 신거점공간으로 활용③ 노후쇄신(老朽刷新) : 노후 주거지를 재개발하고 노후 산단을 스마트 산단으로 쇄신④ 문광특출(文光特出) : 글로벌 문화브랜드 창출, 문화예술·관광 특성화로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관광문화 도시로 번영⑤ 관통순환(貫通循環) : 지역간 및 도심내 원활한 관통교통축 및 순환교통망 구축⑥ 산수지속(山水持續) : 팔공산과 금호강·수성못 등 산·강·호수를 연계한 지속가능한 녹색 공간 창출○ 모델 실천을 위한 주요 전략• 모델을 실천하는 주요 전략은 ① 신공항 건설 및 군위 편입을 계기로 형성된 4대 권역별 특화 및 연계 발전 ② 신규 주력 산업단지 조성 등을통한 5대 신산업 입지 강화 ③ 후적지의 신성장거점화 및 글로벌 랜드마크 구축 ④ 노후 주거지 재개발과 스마트 산단으로의 구조 변화 ⑤ ‘K-콘텐츠’ 등을 활용한 대구형 독창적 문화브랜드 및 관광프로그램 활성화 ⑥ 신공항과의 연결교통망 및 도시철도 순환망 확충 ⑦ 대구 그린퓨처를 선도하는 녹색도시와 지속가능한 도시로 도약 임.• 대구 공간구조 ‘4+6’혁신모델과 주요 전략을 통해 ① 대구미래 50년 번영의 공간적 기본 토대 마련으로 대구가 뉴프런티어 거점도시로 도약, ② 신공항과 신산업을 연계해 국내·외 앵커 기업 대거 유치와 양질의 신규 일자리 대거 창출, ③ 산수(山水)와 시민이 조화되고 지속가능한 글로벌 도시로 도약하며, 시민 삶의 질이 크게 변혁되는 체감형 대구공간구조로의변화가 기대됨.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파일, 총 8페이지)을 참고하세요.  
    [더보기]
  • 3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파일, 총 80페이지)을 참고하세요.  
    [더보기]
  • 2
    ○ ‘대구미래50년’과 ‘관광혁신’의 중요성•거시환경과 관광트렌드 변화에 대응하는 선제적 관광정책 발굴과 관광도시 간의 치열한 관광시장 선점 경쟁, 국토균형발전 및 지방관광   시대 선도를 위해 ‘대구미래50년’과 연계한 관광산업 혁신생태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대구시는 민선8기 ‘대구미래50년’ 실현을 위한 중점추진과제로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공항 후적지 개발, 글로벌 관광 인프라 구축, 금호강    르네상스, 시민주도 문화축제 등 다양한 문화관광 관련 정책사업을 제시○ 대구시 문화관광 현황과 진단•대구는 서울을 제외하고 6대 광역시 중 가장 많은 국가지정문화재(110점)와 유네스코 등재 유산인 ‘도동서원’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로 선정된 문화관광도시•2022년 대구 방문객은 9,891만 명으로 전년동기 대비 12.7% 증가하였으며, 20~39세의 청년층이 41.6%로 비교적 많이 방문하고 있어    문화예술, 스포츠, K-콘텐츠 등 관광산업 성장잠재력이 매우 우수○ ‘NEW DAEGU’ 관광혁신 모델과 7대 전략•(모델) NEW DAEGU 관광혁신은 뉴노멀 시대에 걸맞은 ‘新관광소비자’(Next Tourist)을 유치할 수 있는 ‘관광산업 네트워크’(Enterprise     Network)를 구축해 ‘월드클래스 관광도시’(World class Destination) 대구로의 방문을 촉진하는 「대구미래50년」 관광모델임.     관광혁신모델의 성공요소는 지속적인 관광수요시장(D) 발굴과 새로운 관광매력공간(A) 창출, 다양한 관광콘텐츠(E) 개발에 기반하여     관광생태계 성장(G)과 관광서비스 고도화(U)가 선순환되는 것임.•(7대 전략) ① 대구형 뉴-관광시장 발굴 및 선점 ② 초광역 관광연결망 및 4대 관광권역 특화 개발 ③ ‘청년친화 여행도시=대구’ 조성     ④ 대구만의 로컬콘텐츠 및 관광이벤트 발굴 ⑤ 대구형 융복합 관광산업 생태계 구축 ⑥ 대구 관광목적지 이미지 강화 및 수용태세 확충     ⑦ ‘NEW DAEGU’ 관광혁신 기본계획 수립 및 수요자 리빙랩 운영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파일, 총 8페이지)을 참고하세요. 
    [더보기]
  • 1
    ○ 스마트 동네생활권 전략의 배경•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에서 나타난 주요 일상생활의 동네화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 예상되고, 엔데믹 이후 대구    등 도시에서 필수재 소비 외 일상적인 가계지출의 회복이 부진한 가운데 동네상권의 소비는 일부 증가 추세•국내에서도 생활권계획의 법제화를 추진 중이며, 지역 내 시민생활 기본수요(의료·직장·주거·교육·교통·문화·안전)의    생활서비스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족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조성이 필요○ 대구의 생활권과 기본수요 생활서비스 여건 및 트렌드•대구의 기본수요 생활서비스 접근성 종합지수를 분석하면 3차순환도로 내부 생활권과 북구 칠곡지구, 달서구 용산·월성    등의 접근성이 비교적 높게 분석되었고, 지역 간 기본수요 생활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적 격차를 줄이는 방안 모색 필요•국내외 많은 도시에서 생활권 계획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며, 특히 미국 포틀랜드시는 서비스에 안전하고 편리하게    접근하는 ‘완전한 이웃’, 중국 상하이시는 취약계층의 일상보장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생활권’을 추진○ 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조성을 위한 「7×7」 전략•시민생활 관련 7대 기본수요(의료·직장·주거·교육·교통·문화·안전)를 충족하는 대구형 스마트 동네 생활권 구현을 위해 근거리 서비   스, 스마트 서비스, 자족형 서비스, 시민참여 서비스 등의 일괄 조성이 필요•이를 위해 7대 중점 전략이 필요 : ➊ 동네생활권 설정 및 DB 구축 ➋ 생활권 맞춤형 기본계획 수립·실천 ➌ 스마트기술의 접목    ➍ 주민참여·리빙랩 운영 ➎ 동네생활권 관리플랫폼 구축·운영 ➏ 상시모니터링 진행 ➐ 가이드라인·제도·파트너십 기반 구축•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7×7」 전략의 추진으로 시민이 체감하는 살기 좋고 안전하며, 스마트기술과 창의적 디자인이 결합된    프리미엄 생활권 구축으로 대구 생활공간의 혁신과 시민 삶의 질 변혁을 유도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파일, 총 8페이지)을 참고하세요.
    [더보기]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