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경기종합지수 〇 대구 동행종합지수: 12월 대구 동행종합지수(2020년 기준)는 전월대비 0.8% 하락, 현재의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차 0.9p 하락- 구성지표 중 판매전력량(△6.3%), 산업생산지수(△1.4%)는 감소하였으며, 수출액(2.4%), 광공업출하지수(0.8%),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0.3%)는 증가하였으며, 비농림어업취업자수는 보합〇 대구 선행종합지수 : 12월 대구 선행종합지수(2020년 기준)는 전월대비 0.4% 상승하였고,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차 0.2p 상승- 구성지표들 중 재고순환지표(1.9%p), 중간재출하지수(1.4%), 비제조업업황BSI(0.3p), 순상품교역조건지수(0.7%)는 상승하였고, 건축허가면적(△7.7%), 주가지수(△2.1%)는 하락▮ 국내 경기종합지수 〇 국내 동행종합지수 : 12월 국내 동행종합지수는 전월대비 0.2% 상승,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보합- 건설기성액, 소매판매액지수 등 하락, 광공업생산지수, 서비스업 생산지수 등 상승〇 국내 선행종합지수 : 12월 국내 선행종합지수는 전월대비 보합,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2p 하락- 건설수주액, 경제심리지수, 기계류내수출하지수 등 하락, 장단기금리차 상승▮ 해외 경기종합지수(선행지수) 〇 미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소비자 경기전망 악화, 약한 제조업 주문, 초기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 건축 허가 건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하락〇 유로존의 경기선행지수는 신규 주문 약세, 마이너스 수익률 스프레드, 소비자경기 전망 침체 등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전월대비 하락〇 영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주간 근무시간 약화, 소비자 기대 감소, 주가 하락, 마이너스 수익률 스프레드 등의 부정적인 영향으로 전월대비 하락〇 일본의 경기선행지수는 신규 채용, 건축 허가 면적, 니케이 지수, 주가, 신규발행 정부채권 등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월대비 상승〇 중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소비자 신뢰 약화의 지속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기타 비금융 구성 요소(미국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하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