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정책브리프

본문 바로가기

대구정책브리프

  • 홈  >  연구  >  대구정책브리프
대구정책브리프.

대구정책연구원의 대구정책브리프 목록입니다.

제19호_2025년 대구경제 전망과 정책 시사점

  • 보고서 번호 2025-01
  • 발행일 2025.01.21
  • 연구책임

    최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장 외

  • 태그

본문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불확실성 속에서 1.8% 수준으로 하락 전망 

• 2025년 세계경제는 지정학적 리스크, 트럼프 2.0 등 여러 불확실성 속에서도 2024년과 유사한 3.2~3.3% 성장 전망 

• 2025년 국내경제는 금융조달 비용 감소, 세계 교역 성장 등으로 투자와 내수가 하반기를 중심으로 회복하겠지만, 세계적인 불확 실성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2024년보다 낮은 1.8%의 저성장 예상


2025년 대구 경제성장률은 1.5% 내외, 고용률은 58.3%, 1인당 GRDP는 전국평균의 66.5%로 상승 전망 

• 2025년 대구경제는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수출 경쟁력 약화, 자동차, 기계, 섬유 등 주력산업 수출의 점진적 회복, 하반기 지역 내수의 소폭 회복 등으로 불확실성 속에서도 전년보다는 0.4%p 높은 1.5% 내외의 성장 전망 

• 대구의 점진적 경기 회복과 인구 변화 추세 하에서 대구 고용률은 전년 대비 0.2%p 증가한 58.3%로 상승 

• 전국평균 대비 1인당 GRDP도 전년보다 0.3%p 증가한 66.5%로 상승 

• 업종별로는 2025년에 인플레이션 완화로 소비, 투자 증가 등 세계 교역량 회복에 힘입어 대구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기계, 섬유산업 생산은 소폭 증가하고 금속가공, 화학산업의 생산 감소세는 둔화 전망 

• AI, 로봇, 반도체 등 디지털전환 추세와 국가 간 첨단산업 경쟁 심화로 2025년 대구 5대 신산업과 섬유패션산업(5+T)의 성장 기회는 확대 되면서 국내외 경쟁도 심화될 전망


대구시는 대구혁신 100+1과 연계해 내수 회복과 중소상공인 회생에 매진하고 대구 기업은 인도 등 신시장 개척 필요 

• 대구시는 △상반기 예산 조기 집행, △신용보증기금 등 금융기관과 협업을 통한 소상공인 회생 지원, △공공일자리 확충 등 고용 안정화 촉진, △관광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 △5대 신산업 투자 유치, 수성알파시티 등 지역혁신거점 투자 유치 활성화 및 旣투자 협약 기업의 실질적 조기 투자 촉진, △대구섬유패션 르네상스 액션플랜 추진 등을 통해 지역경제 회복 가속화에 매진 필요 

• 대구지역 기업은 △인도 등 신흥시장 개척 및 신제품 개발로 시장 다변화, △현지화 맞춤 제품·서비스 제공, △트럼프 2.0 등 통상 환경 급변에 대비한 금융 등 리스크 완화, △FTA, 무역협정을 고려한 유연한 대응 등 리스크 관리 필요 

• 대구시는 상공회의소 등 민-관 협업으로 대구혁신 100+1과 연계해 대구경제살리기 시책을 강화하고, 경제활성화 정책 모니터링과 성과의 신속한 환류를 통한 정책 기동성과 적시성 확보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파일, 총 8페이지)을 참고하세요.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