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포커스

본문 바로가기

이슈 포커스

  • 홈  >  연구  >  이슈 포커스
이슈 포커스.

대구정책연구원의 이슈 포커스 목록입니다.

게시물 검색
  • 3
    • 보고서 번호 2024-03
    • 발행일 2024-07-29
    • 연구책임

      박현정 대구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태그
    ■ 사회적 가치 + 비즈니스 + 창업 = ‘임팩트 스타트업’○ 임팩트 스타트업(Impact Startup)은 ‘비즈니스가 창출하는 모든 수익이 사회 또는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창업기업’을 의미※ 임팩트란? 지속 가능성과 기업성장 및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과 파급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 임팩트 스타트업은 기업가정신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하며, 전통적인 경제적 목표에만 초점을 맞추는 창업기업과 달리 더 넓은 범위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실천■ 글로벌 임팩트 스타트업 투자 추이○ 글로벌 임팩트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털 투자는 2021년 808억 달러로 정점을 기록, 2022년에도 비슷한 수준인 748억 달러의 성과를 보임 : 글로벌 임팩트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캐피털 투자는 2010년 34억 달러에서 2022년 748억 달러까지 확대, 연평균 29.4% 증가○ 2023년 기준 257개(누적)의 글로벌 임팩트 유니콘기업1) 임팩트 유니콘기업 : 사회적, 환경적 가치를 창출하면서 기업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이 탄생했으며, 11개 임팩트 유니콘기업이 등재 유지■ 우리나라는 현대차, SK 등 대기업 중심으로 임팩트 스타트업 적극 지원○ 현대차 정몽구재단이 ‘H-온드림 스타트업 그라운드’, SK그룹이 ‘임팩트 유니콘 프로그램’ 운영○ 한국사회투자는 대기업이 참여하는 기부펀드인 ‘임팩트 퓨처’ 조성 : 기후테크, 농식품테크, 사회서비스 등 미래 사회의지속 가능성을 견인하는 임팩트 비즈니스에 관심 있는 기업들이 기부기업으로 참여■ 임팩트 스타트업 활성화 지원 방향○ 중앙정부 - ▲지자체가 임팩트 스타트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 인프라 구축, 네트워킹 기회 제공 등의 지원 강화, ▲투자자나 소비자에게 신뢰를 제공할 수 있는 임팩트 스타트업의 성과 측정 및 인증 시스템 구축○ 대구시 - ▲‘대·중견기업 연계형 임팩트 스타트업’ 활성화 지원 프로그램 추진 : SK C&C 등 대기업과 대동그룹, 삼익 THK 등 중견기업이 참여하는 프로그램 개발,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삼성 C-Lab과 연계한 ‘임팩트 스타트업 민관합동 아카데미’ 운영 등 교육 지원 포함, ▲임팩트 스타트업 육성 위한 ‘임팩트 투자 펀드’ 조성 : 금융기관, 대·중견기업,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임팩트 스타트업 육성 펀드’ 조성, 자산가, 애향민 등 지역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임팩트 투자 기부펀드’ 조성, ▲‘임팩트 스타트업 육성지구’ 활성화 촉진 : 수성알파시티, 동대구벤처밸리, 도심융합특구 등 신산업 육성과 연계한 임팩트 투자기금 집중 지원
    [더보기]
  • 2
    • 보고서 번호 2024-02
    • 발행일 2024-05-31
    • 연구책임

      정혜경 대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태그
    ■ 스마트팜은 기후변화, 노동력 부족, 신선식품 수요 증가 등 농업 부문 혁신 수단으로 부각○ 스마트팜은 농업의 생산성ㆍ품질 향상과 경영비ㆍ노동비 절감 등을 위하여 농업 분야에 정보통신기술 등 첨단기술(Smart)을 적용한 ‘농장(Farm)’※ 팜테크(Farm Tech)는 농축수산업(Farm)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농업·양식업·축산업 등에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기술 및 관련 산업을 뜻하며, 스마트팜을 포함함○ 스마트팜은 기후변화, 고령화, 신선식품 수요 증가 등 농업 문제를 해결하고, 농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전환 위해 중요성 부각○ 글로벌 스마트농업 시장은 연평균 10% 수준으로 급속하게 성장 중이며 선진국은 스마트농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육성 정책을 수립한 반면, 국내의 경우 스마트농업 관련 기술발전과 농가 도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 정부는 스마트농업 정책을 적극 추진, 국내외 선도기업에서도 스마트팜 사업 확대 중○ 2023년 7월 스마트농업법이 제정되어 2024년 7월 시행 예정이며, 농식품부는 2024년 3월 「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을발표하여 2027년까지 스마트농업 30% 확산 가속화, 스마트농업 전문기업 육성하여 수출 확대 추진○ 아마존과 같은 빅테크 기업, 해외 스타트업 등에서 스마트팜을 육성 중이며, 현대건설 등 대기업이 전국 최대 규모 스마트팜단지인 ‘충남글로벌홀티콤플렉스’를 조성하고, 농심 등 식품 대기업에서도 미래성장동력으로 스마트팜 사업 확대 중○ 대구시 군위군은 첨단과학 기술을 융합한 ‘글로벌 스마트농업밸리’ 조성 예정■ 정책 대응 시사점○ 중앙정부는 2024년 3월 발표한 ‘스마트농산업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스마트팜 확산의 전략적 기반 구축 필요,공공-민간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팜 확산에 대규모 자본이 필요한 분야의 투자를 주도하고, 영농규모화 등 정책 지원추진, 스마트팜 확산과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전후방산업 생태계 강화 필요○ 대구시는 ‘스마트팜 선도거점 대구’ 정책 추진 필요, ▲3대 권역별 특화 스마트팜 육성 : ①달성군은 시설원예 스마트팜 중심, ②군위군은 글로벌 스마트농업밸리(공항주변 스마트팜) 및 푸드텍 허브 기반 구축, ③도시부는 스마트 수직농장 중심으로 육성, ▲대구 5대 신산업 기술을 스마트팜에 접목, ▲생산·가공·물류·연구 등 종합기능을 수행하는 스마트팜 이노베이션파크 조성, ▲청년 스마트 농업인재 양성, ▲스마트팜 생산 신선농산물의 수출품목 육성, ▲대구형 스마트팜-치유산업 통합 모델 개발, ▲장기적으로 대구경북신공항과 연계한 스마트팜 비즈니스 프리존 구축
    [더보기]
  • 1
    • 보고서 번호 2024-01
    • 발행일 2024-05-13
    • 연구책임

      최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 태그
    ■ 인공지능의 확산과 각국의 대응 ○ 인공지능은 기계가 인간과 유사하게 학습, 추론, 판단, 문제 해결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의료, 자동차,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는 중○ 특히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1)을 활용한 오픈AI의 챗GPT와 응용 분야의 발전 속도는 전문가 예상을 뛰어넘는 중○ 미국, 중국, EU 등 세계 주요국은 2010년대 후반부터 국가 주도의 인공지능 육성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최근에는 인공 지능 관련 합리적 규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수립하였고 2024년 4월에는 ‘AI 글로벌 Top 3’를 목표로 ‘AI·디지털 혁신전략’과 ‘AI 반도체 이니셔티브’ 정책을 수립·발표■ 인공지능 경쟁 확대와 역기능에 대한 우려 ○ 생성형 인공지능의 개발(구글 제미니, MS MAI-1, 아마존 올림푸스 등), AI 반도체 플랫폼 구축(인텔·삼성·네이버), 애플과 삼성의 온디바이스 AI 경쟁 등 빅테크 기업들이 인공지능 분야에 집중 투자 중 ○ 국내서도 카카오(코GPT), 네이버(하이퍼클로버X) 등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자체 개발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물류 플랫폼과 쇼핑시스템의 도입(롯데쇼핑, 신세계 SSG), 공식적 업무 활용(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 등 인공지능을 통한 경쟁력 강화 노력 확산 ○ 일자리 환경 변화로 인한 사회적 혼란, 저작권, 프라이버시 등 권리 침해 가능성, 인공지능의 판단에 대한 검증 및 예측·예방의 불가능성, 보안 문제와 책임 소재에 대한 사회적 합의 부재 등 인공지능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도 증가 ■정부의 대응방향○ 중앙정부는 2024년 4월 발표한 ‘AI 글로벌 Top 3’ 달성을 위해 범부처적 정책 협력 및 실천 관련 모니터링·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공공-민간 협력을 통해 인공지능의 효율성 강화 및 역기능 완화 추진, 사회 전반에 걸친 AI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AI 문해력 향상 등 인공지능이 지속 발전할 수 있는 여건 조성 필요 ○ 대구시는 최근 ㈜포커스H&S, 엘비스 등 인공지능 관련 업체와 활발히 MOU를 체결하는 등 성과를 맺고 있어, ▲인공지능 연구허브 선점을 위한 인공지능종합연구센터 설립, ▲RISE 연계 산학협력을 통한 AI 인재 양성, ▲기업 맞춤형 인공 지능 현장기술 지원, ▲5대 미래신산업 육성 정책 접목 등을 통해 인공지능의 경제·산업적 파급효과 극대화 추진 필요 
    [더보기]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