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정책브리프

본문 바로가기

대구정책브리프

  • 홈  >  연구  >  대구정책브리프
대구정책브리프.

대구정책연구원의 대구정책브리프 목록입니다.

대구시 고령친화 생활복지 모델과 추진전략

  • 보고서 번호 2025-03
  • 발행일 2025.03.26
  • 연구책임

    박은희 대구정책연구원 인구·복지전략랩 단장, 박은선 대구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

  • 태그

본문

○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대구형 복지체계 혁신이 요구되는 시점

•대구시의 초고령사회 진입(2024년 4월)에 따라 지역사회 계속 거주(Aging in Place)와 활동적 노화(Active Aging)를 실현할 수

있는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요구되는 시점임

•특히 「대구광역시 고령친화도시 구현을 위한 노인복지 기본조례」 제정(2024.10.30.),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2026.3.) 등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복지체계 혁신과 도시환경 변화 요구가 증가하고 있음


 생활복지 개념 및 대구시 고령자 생활복지 실태

•복지체계 혁신을 위해 지방시대위원회에서 발표한 「지방시대 종합계획(’23~’27)」 5대 전략 중 하나인 맞춤형 생활복지 전략에 근거

하여 생활복지 개념을 정립하고 대구형 생활복지 모델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

•생활복지는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시민이 참여해 일상생활 관련 사회서비스를 발굴·실천·향유하는 복지체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 시민, 사회서비스가 주요 구성 요소임

•대구시 고령자 생활복지 실태를 살펴보면, 고령자는 경제적 자립 사고가 높아 노인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정책이 요구됨. 또한 자기

돌봄 역량 유지와 취약노인을 위한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 여가 및 학습활동 지원과 더불어 다양한 교류 활성화, 고령친화 주거

환경 및 안전시설의 확충이 필요함

▶ 지역 여건과 고령자 생활실태에 기반한 대구형 고령친화 생활복지 모델과 추진전략 필요


 대구형 고령친화 생활복지 모델(3C3F 모델)과 추진전략

[횡축] 3Care 구조 

① 자기 돌봄(Self Care): 당사자의 능동적이고 지속가능한 실천

② 지역 돌봄(Community Care): 지역 돌봄자원과 연계, 협력적 서비스 제공

③ 스마트 돌봄(Smart Care): 고령친화기술을 활용한 효율적·맞춤형 서비스 제공

[종축] 3Fare 구조

① 일자리복지(workfare) : 경제적 자립과 일자리를 통한 고용 확대

② 학습복지(learnfare) : 교육, 훈련으로 기술습득·역량 강화, 사회적 관계망 형성

③ 생활복지(living welfare) : 지역 중심, 시민참여, 사회서비스 발굴·실천·향유

[4대 영역] 경제생활, 건강생활, 사회생활, 정주생활

 •(핵심전략) ① (경제생활 영역) 활기차고 안정된 맞춤형 고령친화 일자리창출 및 매칭 

② (건강생활 영역) 편안하고 자립적 건강생활 지원 인프라 및 서비스 제공 

③ (사회생활 영역) 참여하고 즐거운 사회생활 활성화 지원 프로그램 제공 

④ (정주생활 영역) 편리하고 안전한 정주환경 구축을 위한 서비스 개선


 기대효과

•대구시민 모두가 행복한 맞춤형 생활복지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지방시대위원회의 삶의 질을 높이는 맞춤형 생활복지 전략을

보강하고 선도

•대구형 고령친화 생활복지 모델의 정책집행을 위해 대구시에서 추진 중인 어르신복지종합계획에 반영하여 정책효과 배가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PDF파일, 총 8페이지)을 참고하세요.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