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제동향

본문 바로가기

대구경제동향

  • 홈  >  연구  >  대구경제동향
대구경제동향.

대구정책연구원의 경제동향 목록입니다.

게시물 검색
  • 16
    ① ’24.7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 향후 경기상황을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 ▪ (산업) ’24.8월 전년동월대비 생산은 증가하였으며 출하와 재고는 감소, 금속가공과 기계장비, 화학산업의 실적 개선 필요 ▪ (소비) ’24.9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4.9로 전월대비 가계 재정상황 전망이 비관적이며,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현재 경기와 향후 경기     전망 모두 비관적임 ▪ (투자) ’24.8월 자본재 수입액은 전년동월대비 1.5% 감소하였으나, 대구 주요 품목 중 정밀기기와 정보통신기기, 반도체, 자동차부    품의 투자 증가로 생산능력 회복 전망 ▪ (무역) ’24.8월 전년동월대비 수출 19.7%, 수입 28.7% 모두 감소하여 교역 규모가 감소하였고, 전월대비로는 수출은 감소, 수입은     증가하여 무역수지 감소 ▪ (고용) ’24.8월 실업률은 0.2%p 증가한 2.5%, 고용률은 2.1%p 감소한 57.9%, 취업자는60대 이상과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     층의 감소 영향으로 4만 3천명 감소(전년동월대비) ▪ (물가) ’24.9월 소비자물가는 최근 큰 폭으로 상승한 과실 가격의 하락 전환 영향 등으로 1.6% 상승하여 물가 상승이 안정적이며,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5% 상승(전년동월대비) ▪ (금융) ’24.7월 가계 대출금은 감소하였으나, 주택담보대출이 전월대비 증가 ▪ (주택) ’24.8월 주택매매거래량이 증가(0.7%) 하였으나, 주택매매가격지수는 하락(전년동월대비) ▪ (창업) ’24.7월 창업기업 수는 전월대비 도매 및 소매업과 부동산업의 증가 영향으로 12.2% 증가(전년동월대비 △2.4%) ② 美 금리 인하와 1%대의 물가상승률로 인한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전망에 따른 대응 방안 모색 필요 ▪ (부동산정책) 미국의 금리 인하와 소비자물가 상승률 1%대 유지로 인하여 국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금리 인하 영향     으로 예상되는 가계부채 중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에대한 관리 방안 모색 필요 
    [더보기]
  • 15
    ① ’24.6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 향후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 (산업) ’24.7월 전년동월대비 생산과 출하는 증가하였으며, 재고는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실적 회복, 섬유는 전월대비 실적이 개선되었으나, 화학산업은 실적 개선 필요▪ (소비) ’24.8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6.8로 전월대비 현재생활형편과 전망이 비관적이며,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현재 경기와 향후 경기 전망 모두 비관적임▪ (투자) ’24.7월 자본재 수입액 4.7% 감소하여, 대구 생산능력 취약 전망(전년동월대비)▪ (무역) ’24.7월 전년동월대비 수출 15.8%, 수입 35.0% 모두 감소하여 교역 규모가 감소하였고, 수입이 수출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여 무역수지는 증가▪ (고용) ’24.8월 실업률은 0.2%p 증가한 2.5%, 고용률은 2.1%p 감소한 57.9%, 취업자는 60대 이상과 3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의 감소 영향으로 4만 3천명 감소(전년동월대비)▪ (물가) ’24.8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산물의 전월대비 감소로 1.8% 상승하여 물가상승이 안정적이며,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8% 상승(전년동월대비)▪ (금융) ’24.6월 가계 대출금과 기업 대출금 모두 전월대비 증가, 연체율은 모두 감소▪ (주택) ’24.7월 주택매매거래량이 증가(13.4%) 하였으나, 주택매매가격 하락폭은 증가, 미분양 주택은 10,070호로 ’24.1월 이후 다시 1만호 이상으로 증가(전년동월대비)▪ (창업) ’24.6월 창업기업 수는 실질창업기업수의 감소 영향으로 전월대비 3.5% 감소②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관리 방안과 수출 규모 확대를 위한 품목 다변화 모색 필요▪  (부동산정책) 금리인하 전망으로 인해 주택 거래가 증가 추세에 있으나, 대출 제한 등의 규제 강화로 악성 재고인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1만호 이상으로 증가하여 미분양에 대한 관리와 건설업체와의 상호협력체계 구축 등의 해결 방안 모색 필요▪ (무역정책) 이차전지 소재인 기타정밀화학원료 수출 부진에 따른 수출 규모 감소 극복을 위해 AI·반도체장비(인쇄회로), 의료용 기기 등의 신산업 관련 품목 지원 방안을 모색하여 수출 다변화 필요
    [더보기]
  • 14
    ① ’24.5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는 전월대비 하락▪ (산업) ’24.6월 전년동월대비 생산과 재고, 출하 모두 감소하였으며, 생산이 재고보다 감소폭이커 실적이 악화, 자동차와 화학산업의 실적 개선 필요▪ (소비) ’24.7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7.4p로 전월대비 가계 재정상황에 낙관적이며,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현재 경기와 향후 경기 전망 모두 낙관적임▪ (투자) ’24.6월 자본재 수입액 18.3% 감소하여, 대구 생산능력 취약 전망(전년동월대비)▪ (무역) ’24.6월 전년동월대비 수출 20.5%, 수입 39.0% 모두 감소하여 교역 규모가 감소하였으나, 수입이 수출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여 무역수지는 증가▪ (고용) ’24.6월 실업률은 0.8%p 증가한 3.6%, 고용률은 3.2%p 감소한 58.3%, 취업자는60대 이상 제외한 모든 연령층의 감소 영향으로 5만 3천명 감소(전년동월대비)▪ (물가) ’24.7월 소비자물가는 과실과 설탕 물가 상승 등으로 2.4% 상승, 체감물가를 나타내는생활물가지수는 2.7% 상승(전년동월대비)▪ (금융) ’24.5월 가계 대출금과 기업 대출금 모두 전월대비 증가, 연체율도 모두 증가▪ (주택) ’24.6월 주택매매거래량 감소(△14.1%) 영향으로 주택매매가격 하락폭이 증가, 미분양주택은 14.6% 감소한 9,738호(전년동월대비)▪ (창업) ’24.5월 창업기업 수는 실질창업기업수의 감소 영향으로 전월대비 9.4% 감소② 설비투자 확대 방안 및 수출입 규모 확대를 위한 대구-중남미 협력 방안 모색▪  (투자정책) 자본재 수입액의 감소에 따라 대구 생산능력이 낮아질 전망으로 설비투자 확대를통한 대구 지역의 생산능력 확대 방안 모색 필요▪ (무역정책) 중남미 지역과의 상호보완적·상호호혜적 방식의 대구-중남미 중장기 협력 방안 모색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도모, 미주개발은행(IDB)과 한국 수출입은행을 활용한 정책 수립을통한 대구 수출입 규모 확대 필요
    [더보기]
  • 13
    ① ’24.4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상승▪ (산업) ’24.5월 전년동월대비 생산은 증가하고 재고는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실적이 개선되었으나, 생산은 감소하고 재고는 증가한 자동차와 화학 산업의 실적 개선이 필요▪ (소비) ’24.6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4.8p로 전월대비 가계 재정상황에 낙관적이며, 경제상황에 대하여 현재 경기와 향후 경기 전망 모두 낙관적임▪ (투자) ’24.5월 자본재 수입액 2.3% 감소, 건축물 허가면적 감소, 착공면적 증가(전년동월대비)▪ (무역) ’24.5월 전년동월대비 수출 29.8%, 수입 35.1% 모두 감소하여, 교역 규모가 감소하였으며, 무역수지도 감소▪ (고용) ’24.6월 실업률은 0.8%p 증가한 3.6%, 고용률은 3.2%p 감소한 58.3%, 취업자는60대 이상 제외한 모든 연령층의 감소 영향으로 5만 3천명 감소(전년동월대비)▪ (물가) ’24.6월 소비자물가는 과실과 설탕 물가 상승 등으로 2.3% 상승, 체감물가를 나타내는생활물가지수는 2.7% 상승(전년동월대비)▪ (금융) ’24.4월 가계 대출금과 기업 대출금 모두 전월대비 증가▪ (주택) ’24.5월 주택매매거래량은 6.0% 증가한 2,466호, 미분양 주택은 25.1% 감소한 9,533호(전년동월대비)▪ (창업) ’24.4월 창업기업 수는 실질창업기업수의 감소 영향으로 전월대비 8.7% 감소② 중앙정부와 민간단체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고용과 물가 안정화 유도▪ (물가정책) 물가 안정기조 안착을 위하여 농수산물 할인 지원, 유통구조 개선, 에너지 바우처등 민생안정 정책을 중앙정부·공공기관·소비자단체 등과 공동대응 필요▪ (고용정책)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긴급 지원, 기술창업관련 민간협력 지원 사업 등 창업지원 정책 확대를 통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고용안정 지원
    [더보기]
  • 12
    ① ’24.3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상승▪ (산업) ’24.4월 전월대비 생산은 감소하고, 재고는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기준으로는 생산이 증가하고, 재고는 감소하여 대구 산업들의 실적 개선 기대▪ (소비) ’24.5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3.0p로 가계지출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어 전월대비 2.2p 하락하며 다소 비관적으로 변화▪ (투자) ’24.4월 자본재 수입액 4.3% 증가, 건축물 허가면적 감소, 착공면적 증가(전년동월대비)▪ (무역) ’24.4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16.2% 감소했으나, 대구 주요 수출 품목 중 전자전기, 기계, 섬유의 증가로 전월대비로는 3.4% 증가하였고 무역수지 흑자폭은 수입이 8.2% 증가하여 소폭 하락▪ (고용) ’24.4월 실업률은 0.3%p 감소한 3.2%, 고용률도 1.1%p 감소한 58.5%, 취업자는서비스업종과 청년 취업자의 감소 영향으로 9천명 감소(전년동월대비)▪ (물가) ’24.5월 소비자물가는 과실과 설탕 물가 상승 등으로 2.4% 상승, 체감물가를 나타내는생활물가지수는 2.8% 상승(전년동월대비)▪ (금융) ’24.3월 가계 대출 연체율과 기업 대출 연체율은 전월대비 모두 감소▪ (주택) ’24.4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전년동월대비 증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전월대비 278호 증가▪ (창업) ’24.4월 창업기업 수는 전월대비 41.7% 증가했지만, 전년동월대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의 감소로 인해 3.0% 감소② 중앙정부와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소비의 침체 대응 및 물가 안정화 유도▪ (고용정책) 고용친화기업 지원사업을 통한 청년일자리 확대 유도, 지역 기업의 고용 문화 개선을 통한 청년층의 지역 이탈 방지와 지역 정착 도모,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 복지 일자리 지원 정책 확대 필요▪ (물가정책) 농축수산의 고물가 수준과 중동정세 소강 상태로 유가 불확실성이 소폭 진정세에있으나, 이상기후(고온)에 대한 물가 불안 요인과 지속되는 높은 환율로 인한 외식 물가와 서비스 물가의 불안 요인(‘대구로’를 활용한 서민 경제 지원 등) 등 점검 필요▪ (투자정책) 고금리에 따른 조달비용 급증 등으로 악화된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기업들의 투자지출에 대한 지원 정책 모색과 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금융 지원 정책 확대 필요
    [더보기]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