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제동향 (2024년 11월)
- 발행일 2024. 12
- 연구책임
경제동향분석센터
- 태그
본문
① ’ 24.9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상승
▪ (산업) ’24.10월 전년동월대비 생산이 상승하고 재고 대비 출하가 더 늘어난 영향으로 산업실적이 개선, 전년동월대비 금속가공, 기계장비, 화학산업의 실적 악화
▪ (소비) ’24.11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5.4로 전월대비 가계 재정상황 전망이 전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상황에 대해서도 현재 경기와 향후 경기 모두 비관적임
▪ (투자) ’24.10월 자본재 수입액은 전년동월대비 7.9% 감소하였으나, 대구 주요 품목 중 반도체 제조용 장비의 투자 증가로 미래 신산업의 투자는 확대
▪ (무역) ’24.10월 전년동월대비 수출 5.8%, 수입 20.4% 모두 감소하여 교역 규모가 감소하였지만, 전월대비로는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이 감소하여 무역수지는 증가
▪ (고용) ’24.11월 실업률은 0.3%p 증가한 2.9%, 고용률은 0.9%p 감소한 58.1%, 취업자는 연령별 취업자 중 15~29세와 40대의 감소 영향으로 2만명 감소(전년동월대비)
▪ (물가) ’24.11월 소비자물가는 1.6% 상승하여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이나, 채소 물가가 11.8%로 크게 상승,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8% 상승(전년동월대비)
▪ (금융) ’24.9월 전월대비 가계 대출금과 주택담보대출 모두 증가
▪ (주택) ’24.10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증가(9.1%) 하였지만, 주택매매가격지수는 하락(전년동월대비)
▪ (창업) ’24.9월 창업기업 수는 도매 및 소매업과 부동산업, 숙박 및 음식점업의 감소 영향으로 전월대비 1.5% 감소(전년동월대비 △11.2%)
② 외환시장의 불안정성 확대로 인하여 환율 상승에 대한 리스크 점검 필요
▪ 환율의 급등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 및 대금 결제 시 환차손 발생 등의 부정적 영향 정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산업별 환율 리스크 점검이 필요
요약
’24.9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