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제동향 (2024년 12월)
- 발행일 2025. 01
- 연구책임
경제동향분석센터
- 태그
본문
① ’24.10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상승
▪ (산업) ’24.12월 전년동월대비 생산과 출하가 감소하고 재고가 더 늘어난 영향으로 산업 실적 악화, 전년 동월대비 금속가공, 기계장비, 자동차, 화학산업의 생산 및 출하 실적 악화
▪ (소비) ’24.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7.3로 전월대비 가계 재정상황 전망이 전월대비 악화 되었으며,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도 현재 경기판단과 향후 경기전망 모두 비관적임
▪ (투자) ’24.11월 자본재 수입액은 섬유기계 등의 감소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28.3% 감소, 대구 주요 품목 중 의료용 기기 등의 투자 증가로 미래 신산업의 투자는 확대
▪ (무역) ’24.11월 전년동월대비 수출 23.4%, 수입 22.0% 모두 감소하여 교역 규모가 감소 하였고, 품목별로는 화학공업제품, 기계류, 섬유제품 위주로 수출 실적이 감소
▪ (고용) ’24.11월 실업률은 0.3%p 증가한 2.9%, 고용률은 0.9%p 감소한 58.1%, 취업자는 30대, 60대 이상이 증가했으나 15~29세와 40대가 감소하여 1만 9천명 감소(전년동월대비)
▪ (물가) ’24.12월 소비자물가는 2.0% 상승하여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이나, 채소 물가가 13.3%로 크게 상승,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2.4% 상승(전년동월대비)
▪ (금융) ’24.10월 가계대출금은 0.3% 상승하여 54.4조원, 주택담보대출은 0.3% 상승하여 39.7조원, 기업대출금은 0.2% 상승하여 88.0조원, 어음부도율은 0.03%p 감소(전월대비)
▪ (주택) ’24.11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증가(1.5%) 하였지만, 주택매매가격지수는 하락(전년동월대비)
▪ (창업) ’24.10월 창업기업 수는 개인 서비스업, 운수 및 창고업, 건설업, 교육 서비스업, 사업 시설 관리 및 임대업 등의 증가 영향으로 전월대비 21.4% 증가(전년동월대비 △3.8%)
② 국제 통상 여건 악화 가능성에 따른 수출 경기 하방 위험에 대비 필요
▪ 미국 통상정책이 관세 장벽을 세우고 보호무역 기조로 급변할 경우 국제 통상 여건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는 국내 및 지역 수출에 큰 충격을 줄 가능성이 높음
▪ 수출 의존성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수출 경기가 악화될 위험에 대비할 필요
요약
’24.10월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는 전월대비 상승, 향후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경기선행지수도 전월대비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