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대구정책연구원,“대구정책브리프” 제5호 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12웹관리자

작성일

2023-07

첨부파일

본문

 대구정책연구원,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7×7전략제안

대구정책브리프5호 발간


- 의료·문화 등 7대 기본 생활서비스와 7대 주요 추진전략을 제시

- 대구시민이 체감하는 살기좋은 프리미엄 생활권 조성

- 대구시민의 삶의 질 변혁 유도

 

대구정책연구원(원장 박양호)은 오늘 720일 자로 대구정책브리프5호를 발간했다.

 

대구정책브리프 제5호는 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7×7전략을 주제로 대구정책연구원 이상인 스마트생활권 랩단장이 작성했다.

 

이상인 랩단장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에서 나타난 트렌드인 주민 일상생활의 동네화가 앞으로도 지속될 것이라는 예상을 전제로, 대구형 생활공간 혁신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 지역 내 시민생활 7대 기본수요(의료·직장·주거·교육·교통·문화·안전)의 생활서비스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자족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조성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의 기본수요 생활서비스 접근성 종합지수를 분석한 결과, 대구시내 3차순환도로 내부 생활권과 북구 칠곡지구, 달서구 용산·월성 등의 접근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등 생활권 간 기본수요 생활서비스의 접근성과 질적 격차를 줄이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국내외 생활권 도시 추진 사례 시사점과 함께 국토교통부가 생활권계획을 새로운 도시정책으로 제시한 N분 생활권 조성과 로컬 브랜드화 사업 등이 동네생활권 추진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단장은 대구의 동네생활권을 도보로 1015분 거리인 반경 500m 내외와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이용 반경 1.5를 중심으로 하는 도보·자전거, 대중교통(단거리) 융합형 동네생활권으로 설정하였으며, 50여 개의 동네생활권으로 구성될 것이라 분석하였다. 군위군과 달성군의 경우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별도의 생활권이 설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단장은 대구에서 시민체감형 스마트 동네생활권을 선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7대 기본 생활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대구형 동네생활권 모델과 이를 추진하기 위한 7대 전략과제를 결합한 대구형 7×7전략을 제안했다. , 시민생활 관련 7대 기본수요(의료·직장·주거·교육·교통·문화·안전) 생활서비스를 공급하고, 근거리·스마트·자족형·시민참여 서비스 등을 일괄 조성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효율성과 융합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과제로 동네생활권 설정 및 DB 구축 동네생활권별 기본계획 수립·실천 스마트기술의 접목 주민참여·리빙랩 운영 동네생활권 관리플랫폼 구축·운영 상시모니터링 진행 가이드라인·제도적 기반 구축을 제시했다(첨부1).

 

동네생활권 맞춤형 기본계획을 3년 단위로 수립·실천하고 동네생활권별 브랜드 생활서비스 시설(: 명품도서관, 명품돌봄시설 등)을 중점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관련 IT, 저탄소에너지기술 등 스마트기술을 적극 접목시켜 모두가 편리한 스마트 생활권의 구현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했다.

 

특히 동네생활권 조성과정에서 주민참여 리빙랩을 운영하여 생활권 내 주민의 선호가 높은 생활서비스와 필요한 스마트기술을 우선 확충하고, 동네생활권 시행을 기획·조정할 수 있는 관리플랫폼 구축과 상시모니터링 체계를 통해 촘촘한 동네생활권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나아가 동네생활권 조성 가이드라인, 법률·조례 등 관련 제도 정립과 생활권별 민관 파트너십 구축을 제시했다.

 

 

이단장은, “스마트 동네생활권 대구형 7×7전략의 추진으로 시민이 체감하는 살기좋고 안전하며 스마트기술과 창의적 디자인이 결합된 프리미엄 대구생활권 구축으로 대구 생활공간 혁신과 시민 삶의 질 변혁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첨부1 : 대구형 스마트 동네생활권 7×7전략(이미지)

db743f28f108ac7cd7d71ca4d2d3a95d_1690158097_8111.png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