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대구정책연구원, 2024년 제4회 대구재발견플라자 개최 “프랑스 리옹시의 성장과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자

12웹관리자

작성일

2024-02

첨부파일

본문

대구정책연구원, 2024년 제4회 대구재발견플라자 개최

- 주요국 내륙거점 대도시와 대구 비교 -

프랑스 리옹시의 성장과 시사점


- 내륙거점 리옹시 성장을 분석, 대구미래발전 7개 시사점제시

- 도시중심지구의 재생, 신산업육성, 수변공간정비, 국제공항 확장조경·문화기반 도시발전 등이 핵심요인

 

대구정책연구원(원장 박양호)131() 오후 2시 연구원 대회의실(동대구로 461)에서 프랑스 리옹시의 성장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2024년 제4회 대구재발견플라자를 개최했다.

- 이번 대구재발견플라자는 2024년 대구정책연구원 기획연구사업인 주요국가 내륙거점 대도시와 대구의 비교 연구를 위한 세 번째 워크숍으로 프랑스 리옹시의 도시발전사례를 살펴봤다.

 

주제발표를 맡은 배준구 경성대학교 교수는 리옹시의 인구는 52만 명이지만 리옹광역도시권인 리옹메트로폴(metropole)143만 명에 이른다. 프랑스 남동부 내륙지역에 위치한 제2의 도시이자 파리-리옹-마르세이유 국토성장축의 중심거점인 리옹시는 지리적 위치, 도시 위상 등에서 대구시와 유사한 점이 많다고 강조하면서 리옹시의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대구발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 원래 섬유산업으로 특화된 리옹시는 전통산업인 섬유산업의 퇴보로 쇠락의 길에 직면했지만 새로운 도시전략으로 다양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신국제공항의 지속적 확장, 바이오·디지털 등 첨단산업의 성장과 함께 문화예술경쟁력을 바탕으로 리옹이 유럽의 글로벌 거점도시로 부흥하게 된 과정을 소개했다.

- 배교수는 특히 유럽 최대 규모의 혁신적 도시재생사업인 리옹 콩플뤼앙스’(Lyon Confluence) 재생사업(2003~2025)은 도심을 가로지르는 강주변의 낙후된 구 산업지구를 새로운 중심지구로 탈바꿈시켰다. 조경을 고려한 수변 정비와 함께 업무지구, 상업지구, 자연친화적 주거지구로 변모시키고, 창조성을 살린 신개념의 건축물들은 도시재생의 상징으로 여겨질 정도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고 했다.

- 또한 “2004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국토균형발전정책인 경쟁거점정책으로 리옹시의 바이오산업거점정책이 선정되면서 리옹시에 생명공학, 의료기술, 디지털 기술 등을 중심으로 미래산업혁신의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조성되고 있음을 소개하면서 프랑스의 대도시 연합 및 육성제도의 일환인 지자체 개혁법으로 2016년에 리옹도시권인 리옹메트로폴이 운영되면서 도시의 광역적 공동발전의 혁신적 사례를 리옹지역이 선도하고 있다고 했다.

- 배교수는 리옹시의 성장이 대구 미래발전에 주는 7가지 시사점을 제시했다. 리옹시를 가로지르는 강 유역에 위치한 구시가지의 혁신적 변화 유럽최대규모의 도시재생사업지구인 콩플뤼앙스의 수변도시정비사업 균형발전거점인 리옹비오폴(Lyonbiopôle)의 바이오산업클러스터 개발과 비즈니스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한 글로벌 도시 주요 인프라인 국제공항의 지속적 확장 조경-문화예술-창의적 건축물을 중시한 발전 리옹광역도시권을 통한 인근 지역 간 협력적 도시발전 중앙정부의 균형 및 분권정책과 조화된 정책실행 등이 대구미래50년 전략에 시사점을 준다고 했다.

 

대구정책연구원 박양호 원장은 섬유산업의 퇴보로 도시활성화를 모색했던 리옹시의 혁신적 성장과정으로부터 대구굴기 정책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하면서 리옹시 성장을 분석해 당면한 대구미래발전 실천모델 연구에 응용할 것이라고 했다.


* 첨부 : 관련 사진 2

20369437639e64d490b184bfcf49b552_1707209875_1586.jpg
20369437639e64d490b184bfcf49b552_1707209875_2759.jpg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