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대구정책연구원, “2025년 대구경제 전망 및 정책 시사점”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웹관리자

작성일

2025-01

첨부파일

본문

대구정책연구원,

“2025년 대구경제 전망 및 정책 시사점발표

 

- 트럼프 정부 2기 공식 출범으로 미국우선주의의 확대’, 무역 시스템과 산업 성장 변화, ·중 마찰, 지정학적 리스크 등 세계경제의 변화와 불확실성 고조

-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8%, 대구는 전년 대비 0.4%p 증가한 1.5% 내외 전망

- 전년 대비 대구 고용률은 0.2%p 증가한 58.3% 수준으로 상승, 취업자수는 1.2만명 수준 증가 예상

-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명목)는 전년 대비 3.3% 증가, 전국 대비 66.5% 수준으로 상승 전망

- 대구 5대 신산업과 섬유산업(5+T)의 투자 여건은 세계 경제 및 대구 투자 변화에 따라 개선 전망

- 트럼프 정부 2기 출범 등에 대비, ‘대구혁신 100+1’과 연계해 대구시는 내수회복과 중소상공인 회생에 매진하고 대구 기업은 인도 등 신시장 발굴과 리스크 관리 대비 철저 필요

 


대구정책연구원(원장 박양호)121일 자로 대구정책브리프19호를 발간했다.

 

대구정책브리프 제19호는 [2025년 대구경제 전망과 정책 시사점]을 주제로 대구정책연구원 최재원 경제동향분석센터장을 주축으로 경제산업연구실에서 작성했다.

 

2025년 세계경제는 트럼프 정부 2기 공식 출범으로 미국우선주의의 확대’, 무역 시스템과 산업 성장 변화, ·중 마찰, 지정학적 리스크 등 세계경제의 변화와 불확실성 고조, 중국경제 회복 여부 등 다양한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에서도 2024년과 유사한 3.2~3.3% 성장할 전망이다.

 

2025년 국내경제는 금융조달 비용 감소, 세계 교역 성장 등의 효과로 투자와 내수가 하반기 회복하겠지만 국내외 불확실성이 회복되지 않으면서 1.8%의 완만한 성장이 예상된다.


2025년 대구경제는 미-중 수출 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수출경쟁력 약화, 주력산업 수출의 점진적 회복, 하반기를 중심으로 내수의 소폭 회복 등으로 전년 대비 0.4%p 높은 1.5% 내외의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 그 결과 인구 변화 추세 하에서 대구의 고용률은 전년 대비 0.2%p 높은 58.3%로 상승하고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명목)3.3% 증가하고, 전국 평균 대비해서는 전년보다 0.3%p 높은 66.5% 수준이 될 전망이다(첨부 1).

 

- 경제부문별로 보면, 대구 생산의 경우, 2025년 제조업은 자국우선주의 미국 통상정책과 중국 등과의 저가 경쟁 영향으로 생산이 소폭 감소 또는 현상 유지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하반기 물가 안정과 금리 인하 등으로 가계 부담이 완화되어 내수가 다소 회복되면서 서비스업 생산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대구 고용의 경우, 2024년 대비 2025년 고용률은 0.2%p 상승한 58.3%가 되고 취업자 수는 1.2만 명 증가한 122.9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간 소비 회복 등으로 서비스업 고용이 증가하면서 전체 고용이 소폭 증가하고, 또한 인구 변화의 요인도 가해지면서 고용률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또한 대구 수출입의 경우, 2025년 금리 완화 기조로 세계 인프라 투자 확대 등으로 통상환경 불확실성에도 기계ㆍ자동차 산업과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수출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2024년 대구 미분양주택은 해소 추세였으나 11월 준공후 미분양 주택이 다시 늘어나면서 부동산시장의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 2025년 대구 부동산의 경우, 스트레스 DSR 등 주택담보대출 조건 강화 등으로 전반적인 하락세는 지속될 전망이지만 하반기 들면서 금리 인하, 입주 물량 안정화 등으로 하락세는 둔화될 전망이다.

 

그리고 산업부문별 전망을 보면, 2025년 세계 경제의 꾸준한 성장세와 교역량 회복에 힘입어 대구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기계, 섬유 산업은 소폭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 상반기 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학 및 화학제품산업의 생산과 수출의 감소폭은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적으로 디지털전환 트렌드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대구의 여러 기반강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대구시가 육성 중인 5대 신산업과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전략 및 액션플랜을 추진하는 섬유(Textile) 산업의 성과가 기대되고 있다.

 

- 2국가산단, 수성알파시티, 로봇테스트필드, 글로벌혁신특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전략 및 액션플랜 등 대구의 혁신성장 주요 사업의 강력한 추진으로 기업 유치가 한층 활성화될 전망이다.

 

- 2029년까지 연평균 세계 로봇산업은 9.5%의 고성장이 전망되고 있으며, 대구 로봇산업은 국가로봇테스트필드와 함께 2024년 선정된 글로벌 혁신특구 등을 활용한 세계 수준의 실증을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이 촉진될 전망이다.


- 미래모빌리티 산업은 SW 기반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국 최고 자율주행 인프라ㆍ기업ㆍ연구소를 보유한 대구 미래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이 기대되며, 특히 2025년 시범노선이 추진되는 UAM 관련 투자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 디지털헬스케어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19%의 고성장이 전망되는 산업으로, 대구시와 첨복 등 연구기관, 대학 간 산학연 협력지원을 통해 창업 및 성과 창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세계 ABB 산업은 30% 이상의 고성장이 전망되고 있어, 수성알파시티를 중심으로 AI 데이터센터, AI+제조, AI+의료 등 융합 분야 특화 기업 및 연구소 유치를 통해 지역 디지털 혁신 생태계가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2025년에는 세계 반도체산업은 11.2%의 성장이 전망되며, 대구의 반도체 산업은 설계 및 제조 생태계 확장과 AI·센서 융합 기술 개발을 통해 지역의 새로운 핵심 성장 동력으로의 입지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편, 2025년에 새로운 도약을 추진 중인 대구의 섬유패션산업은 테크산업으로의 대전환을 통해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전략과 액션플랜 등을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을 통해 새로운 성장 모멘텀 창출이 기대된다.


2025년 경제에 대한 대구시와 대구 기업 등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면, 우선 대구시는 불확실성 하에서 지역 경제의 안정성 제고와 대구 경제의 회복속도를 높이기 위해, ‘대구혁신 100+1’과 연계한 총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 이를 위해, 대구 경제 활성화 추진 대책이 필요한바, 상반기 예산 조기 집행, 신용보증기금 등 금융기관과 협업을 통한 소상공인 회생 지원, 공공일자리 확충 등 고용 안정화 촉진, 관광 활성화를 통한 내수 진작, 5대 신산업 투자 확대, 수성알파시티 등 지역혁신거점 투자 유치 활성화 및 투자협약 기업의 실질적 조기 투자 가시화, 대구섬유패션테크산업 르네상스 액션플랜 추진 등을 통해 지역경제 회복 가속화에 매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구지역 기업은 인도 등 신흥시장 개척 및 신제품 개발과 현지화 맞춤 제품·서비스 제공 등으로 시장을 다변화하고, 트럼프 2.0 등 통상환경 급변에 대비한 금융 등 리스크의 완화와 FTA, 무역협정을 고려한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구지역 가계 부문의 경우, 2025년에도 국내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합리적인 가계 운용이 중요하다.

 

특히, 대구시 경제 정책의 기동성과 적시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구혁신 100+1’과 연계하여 대구시는 상공회의소 등과 민관 협업으로 대구 경제살리기 시책을 강화하고, 경제활성화 정책의 모니터링과 정책 성과에 대한 신속한 환류가 필요하다.

 

대구정책연구원 최재원 경제동향분석센터장은 대구경제가 금년에는 작년보다 높은 1.5%의 성장률이 예상되지만, 트럼프 정부 2기 출범 등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하며, “대구 경제 상황에 대한 기동성 있는 상시적 모니터링과 적시의 정책을 대구혁신 100+1’과 연계 추진, 대구경제의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첨부1. 관련 그림 및 표

첨부2. 대구정책브리프 제19(별첨)


0a66d5ca0f487a9ab8d88b1dd29f61b2_1737510170_0969.PNG
0a66d5ca0f487a9ab8d88b1dd29f61b2_1737510170_0556.PNG
0a66d5ca0f487a9ab8d88b1dd29f61b2_1737510170_0165.PNG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