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보도자료.

대구정책연구원 재정투자 워크숍 개최 “재정효율성 확보를 위한 공공투자평가센터 활성화 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웹관리자

작성일

2025-04

첨부파일

본문

대구정책연구원 재정투자 워크숍 개최

재정효율성 확보를 위한 공공투자평가센터 활성화 방안” 워크숍

 

대구정책연구원(원장 박양호)423() 오후 3시 연구원 10층 대회의실(동대구로 461)에서 재정효율성 확보를 위한 공공투자평가센터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로 재정투자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은 지방재정 투자사업의 사전검토 및 성과분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자 마련되었다.

 

주제발표를 맡은 한명주 경기도 공공투자관리센터 투자분석위원(도시계획학 박사)은 경기도 공공투자관리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재정 사업의 사전 타당성 검토 체계, 민간투자사업 분석, 재정사업평가 및 연구지원 등 주요 역할과 성과를 소개하고, 대구시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특히 지역 맞춤형 수요·공급 검토의 중요성, 운영계획과 수익성 검토의 통합적 접근등을 강조하며, 실질적인 평가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 위원은 공공투자평가센터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역별 여건에 따른 운영 차이를 넘어 공통된 기준과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재정사업 분야에선 자치단체 자체심사 통과율이 높은 현실을 감안해 지방공공투자심사 과정에서 전문성과 객관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중규모 사업에 대한 사전검토 강화, 사후관리체계 구축,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심사기준 정립이 중요하다고 했다. 

 

민간투자사업 분야에서는 법률·재무·교통 등 다분야가 복합된 구조적 특성과 장기적 운영을 고려해, 지역연구원에 설치된 지방공공투자평가센터가 전문기관으로서 전문인력확보, 객관적 분석, 교육 및 컨설팅, 정책 제언 기능을 함께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후 이어진 토론에는 서상언 대구정책연구원 공공투자평가센터장, 최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제동향분석센터장, 김광석 대구RISE센터장이 참여하여, 대구시와 유사한 여건의 타 지자체 사례를 분석하고, 공공투자평가센터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특히 자유토론 시간에는 대구시 정책기획관실, 예산담당관실, 군의 실무자들이 참여해 다양한 정책적 제언을 공유하였다.


대구정책연구원 박양호 원장은 지자체에서 공공투자 사전·사후 분석은 재정 건전성의 핵심이라고 하면서 대구시 맞춤형 재정투자 평가체계 구축을 통해 효율적이고 투명한 공공투자 분석을 위한 연구원의 핵심 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 첨부 : 대구정책연구원 재정투자 워크숍 사진 2


b43c8aedd5a3ea33415b7a55f776f131_1745543820_5301.jpg
b43c8aedd5a3ea33415b7a55f776f131_1745543821_3315.jpg
 

 

회원로그인


그누보드5
  • 대구정책연구원
  • 41260 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61, 10 ~ 12층(신천동, 대구정책연구원)
  • 461, Dongdaegu-ro, D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 대표전화 053)770-0500
  • COPYRIGHT ⓒ 2023 Daegu Policy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대구광역시
대구시의회